한강버스


한강버스 정식 운항을 앞두고 마곡·망원·압구정·잠실 선착장과 연결되는 시내버스·마을버스·무료 셔틀버스 노선과 환승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한강버스 정식 운항 개요

1-1. 한강버스 운항 일정 및 목적

서울시는 2025년 9월,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한강을 즐길 수 있도록 한강버스를 정식 운항합니다. 한강버스는 한강 주요 선착장을 연결하며 출퇴근, 관광, 여가 모두를 아우르는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특히, 기존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시내·마을버스와 무료 셔틀버스가 함께 운영됩니다. 이는 단순한 교통수단 확장이 아니라, 서울의 친환경·저탄소 이동 문화 확산을 위한 전략적 조치입니다.

1-2. 주요 선착장 소개

한강버스는 마곡, 망원, 압구정, 잠실 네 곳의 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행됩니다. 각 선착장은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따릉이 대여소와 연계되어 있어 도보·환승 이동이 쉽습니다.


2. 선착장 연계 버스 노선 총정리

2-1. 마곡 선착장 연계 노선

  • 6611번 (신설):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한강버스 마곡선착장

    • 배차: 11~15분

    • 첫차: 05:40 / 막차: 22:00

  • 무료 셔틀버스도 운행 예정(3호선·5호선과 연결)

2-2. 망원 선착장 연계 노선

  • 8775번 (신설): 상암동 ↔ 한강버스 망원선착장 (평일 출퇴근 맞춤버스)

  • 7716번 (신설): 서부운수 ↔ 망원선착장 (14~20분 간격)

  • 마포16번 (조정): 마포16번종점 ↔ 서교푸르지오 (9~12분 간격)

2-3. 압구정 선착장 연계 노선

  • 240번: 중랑공영차고지 ↔ 압구정 선착장

  • 441번: 월암공영차고지 ↔ 압구정 선착장
    정식 운항 이후 무료 셔틀버스가 압구정역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2-4. 잠실 선착장 연계 노선

  • 3317번: 남한산성입구 ↔ 잠실새내역

  • 3323번: 강동공영차고지 ↔ 잠실 선착장
    잠실역·종합운동장역과 연계되는 무료 셔틀버스도 상시 운행됩니다.

3. 무료 셔틀버스 운행 안내

3-1. 마곡 셔틀버스

  • 출발지: 가양나들목(도보 3분)

  • 경유: 9호선 양천향교역 ↔ 5호선 발산역

  • 운행 간격: 15분(정식 운항 시)

3-2. 잠실 셔틀버스

  • 출발지: 잠실새내나들목(도보 5분)

  • 경유: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 잠실 엘스아파트 단지

  • 운행 간격: 15분

3-3. 압구정 셔틀버스

  • 출발지: 신사나들목(도보 5분) ↔ 압구정역

  • 운행 간격: 30분(9월 정식 운항 후 개시)

4. 환승 편의 서비스

4-1. 따릉이 대여소 위치

마곡, 망원, 잠실, 압구정, 뚝섬 등 5개 선착장 주변 도보 3분 이내에 따릉이 대여소가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도보·자전거·대중교통 환승이 원활해집니다.

4-2. 기후동행카드 전용권 출시

  • 출시 시기: 한강버스 운항 개시와 동시

  • 요금: 30일권 67,000원(따릉이 미포함) / 70,000원(따릉이 포함)

  • 이용 가능 지역: 서울 전역 및 김포·남양주·구리·고양·과천·성남 등 수도권 주요 도시

5. 한강버스 이용 꿀팁

5-1. 출퇴근·여가 시간대 추천 이용법

  • 출근: 맞춤버스(예: 8775번)를 활용하면 한강뷰로 출근 가능

  • 퇴근: 일몰 시간대에 맞춰 한강버스 탑승 시 최고의 야경 감상 가능

  • 여가: 주말에는 따릉이와 결합해 강변 산책 + 한강버스 여행 코스로 활용

5-2. 효율적인 환승 루트

  • 지하철 ↔ 셔틀버스 ↔ 한강버스 ↔ 따릉이 순으로 이동하면 환승 할인 + 이동 속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및 유용한 참고 링크

한강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서울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합니다.
정식 운항 이후에는 출퇴근, 관광, 여가 모두에서 한강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필수 루트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