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7-10271


CVE-2017-10271은 오라클 웹로직 서버의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보안 패치가 시급합니다. 이 글에서 기술적 분석과 대응 방안을 확인해보세요.


1. CVE-2017-10271 개요

1-1. 어떤 취약점인가?

CVE-2017-10271은 오라클 WebLogic Server의 WLS Security 컴포넌트에 존재하는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입니다. 이 취약점은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T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를 완전히 장악할 수 있게 합니다.

공식 CVSS v3.1 점수는 7.5점(High)이며, 접근성은 높고, 공격이 매우 용이하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한 취약점으로 분류됩니다.

1-2. 영향받는 제품 및 버전

다음의 WebLogic Server 버전이 취약점의 영향을 받습니다:

  • 10.3.6.0.0

  • 12.1.3.0.0

  • 12.2.1.1.0

  • 12.2.1.2.0

구버전 중 많은 기업 환경에서 여전히 사용 중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취약점의 동작 원리

2-1. T3 프로토콜을 통한 익스플로잇

T3는 WebLogic 서버 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이 프로토콜은 Java Object를 직렬화하여 전송합니다. 문제는 입력 검증이 부족한 상태에서 외부 입력을 받아 deserialize하는 구조입니다.

공격자는 악의적인 직렬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任意의 Java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2-2. 인증 없이 원격 코드 실행 가능성

이 취약점의 가장 큰 문제는 "인증이 필요 없다는 점"입니다.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한 WebLogic 서버에 대해 누구나 공격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즉, 공격자는 서버 권한을 탈취하여 시스템을 장악하거나 랜섬웨어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3. 위험성과 피해 사례

3-1. 실제 공격 사례

CVE-2017-10271은 2017년 발표 이후, 다수의 해커 그룹에 의해 실전에서 악용되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악성코드 배포에 활용되었습니다:

  • 암호화폐 채굴 봇넷(Monero 채굴기)

  • WebShell 설치를 통한 내부망 침투

  • 랜섬웨어 초기 침투 경로

3-2. 기업 보안 위협 요소

WebLogic은 많은 대기업의 내부 업무 시스템이나 ERP, 고객정보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어, 해당 취약점이 방치될 경우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미국 CISA의 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 Catalog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실제 공격에 활용되었음을 공식 인정한 것입니다.


4. 대응 방안과 보안 패치

4-1. 오라클 공식 패치 적용 방법

Oracle은 2017년 10월 보안 패치(CPU)를 통해 해당 취약점에 대한 패치를 제공하였습니다.

4-2. 임시 차단 및 방어 전략

패치가 어려운 환경이라면 다음과 같은 임시 방어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T3 포트 차단: 7001, 7002 등의 기본 포트를 방화벽에서 차단

  • Web Application Firewall(WAF)을 통한 필터링

  • java.rmi.*, weblogic.* 패턴의 트래픽 탐지 및 차단


5. 보안 권고 사항 및 추가 정보

5-1. CISA 및 NIST 권고사항

미국 사이버보안기관인 CISA는 CVE-2017-10271을 중요 취약점 목록(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에 포함시키며 다음을 권고했습니다:

  • 가능한 빨리 보안 패치를 적용할 것

  • 네트워크 접근 제어 목록을 재점검할 것

  • 공격 로그 및 비정상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것

출처: CISA 공식 사이트

5-2. 관련 자료 및 참고 링크